본문 바로가기

한강기맥(進行中)

한강기맥 4구간. 구목령→삼계봉→덕고산→운무산→먼드래재

□ 한강기맥 4구간   

먼드래재운무산덕고산삼계봉구목령생곡리 배나무골

◇ 산행지 :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횡성군 청일면. 평창군 봉평면 일원(먼드래재까지 이동거리 223Km, 생곡리~대전까지 240Km)

◇ 산행일자 : 2013. 10. 5(토). 날씨 : 맑음(초반엔 쌀쌀한 날씨, 오후엔 더움)

◇ 산행친구 및 산악회, 참가인원 : 병채 형님, 용진 형님, 돈민. 대전시 산사모 회원 25명

◇ 산행거리 : 21.4Km(구목령~생곡리 이탈거리 5.6Km 포함)

<4구간> 먼드리재→5.26→운문산→6.34→덕고산→0.86→삼계봉→3.34→구목령→6.8→생곡리 배나무골

◇ 산행시간 : 8시간 50분 <중식 15분,생곡리 도보 1시간 22분 포함>,후미 구목령까지 10시간 20분 산행

◇ 시간대별 요약

- 04:00 대전 시청 출발

- 04:20 대전 IC 

- 07:04 먼드리재 도착

- 07:09 먼드리재 산행시작

- 07:57 내촌마을 갈림길

- 08:21 능현사 갈림길

- 09:25 운무산

- 10:25 삼년대 갈림길

- 10:53 점심(15분)

- 12:16 1,094.2봉 삼각점(△ 청일 426. 1989 복구)

- 13:09 덕고산

- 13:27 삼계봉(태기산 갈림길)

- 14:37 구목령 (후미 16:30분 도착)

- 15:59 생곡리 산행 마침

- 17:10 후미 트럭 이용 생곡리 도착

- 17:20 생곡리 출발

- 20:50 대전 시청 도착  

 

특기사항

① 후미 7명만 구목령에서 생곡리 이탈구간 무쏘 이용

② 2명 다리에 쥐남(사인검님 구목령 도보 하산 중, 진달래님 덕고산 근처)

③ 이정목 설치 잘 되어 있음

④ 최저 인원 참석 (25명)

⑤ 산행 후 뒤풀이 없었음

 

산행 전 사전 조사

<횡성 한우>: 횡성은 예로부터 전통적인 한우의 고장으로 이름난 곳으로, 강원도 횡성 우시장은 옛날부터 4대 우시장에 들어갈 정도이다. 추운 산간지방이기 때문에 소에 지방 축적률이 높아 육질이 부드럽고 향미가 뛰어나며, 또한 한우사육이 발달하려면 산간지방이면서도 논농사가 발달해 볏짚 구입이 용이해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 역시 갖춘 곳이 바로 횡성이다. 또한 기온 역시 낮과 밤의 일교차가 뚜렷해 육질 고유의 맛을 생성해 줄 수 있으며 깨끗한자연환경으로 최적의 사육환경을 두루 갖춘 곳이다. 횡성한우고기는 육즙이 풍부해 감칠맛이 나고 부드러우며 씹는 맛이 훨씬 풍부하다. 또한 혈액순환과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으며 가열 후에도 부드러운 육질과 풍부한 육즙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필수아미노산 라이신과 함유황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한 고급 단백질 식품이며, 또한 맛을 결정하는 글루타민산이 다량 함유되어 다른 브랜드 쇠고기보다 품질과 맛에서 월등히 앞서간다. 제9회 횡성 한우축제'는 2013년 10월 2일 수요일부터 6일 일요일까지 횡성읍 섬강둔치 일원에서 열렸다.

 

산행지도 및 고도표 

 

 

산행 후기

이번 구간은 구목령에서 산행을 시작해야 하나 접속이 어려운 관계로 먼드래재에서 역 산행을 한다. 산행 전 워밍업으로 장흥의 천관산을 다녀오는 등 나름대로는 이번 산행에 대해 준비했는데 새벽 3시에 일어나 아침식사를 한 것도 산행 준비의 일환이었다. 식사를 마치고 시청에 가니 오늘 참석 인원이 25명밖에 안 된다는 소리를 듣고 버스는 편하게 타고 갔다 오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문제는 후미 7명만 구목령에서 차량을 이용하여 하산 하고 나머지는 걸어서 하산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꾀를 부려 기맥길에서 벗어나 있는 봉복산을 다녀오면 후미로 하산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일단 부딪쳐 보고 판단하기로 했다. 

시청을 출발하여 먼드래재에는 3시간 만에 도착했는데 식사를 한 탓인지 비교적 많은 잠을 자고 도착한 느낌이었다. 단체사진은 첫 시작점인 곳에서 일렬로 줄을 서서 찍은 후 산행을 시작했는데 산행만 시작하면 도지는 고질병이 발목을 잡는데 문제는 외길이라 산길을 벗어날 수 없다. 능선에 도착하여 잠시 볼일을 보고 오니 후미 3명이 도착한다. 후미 따라 천천히 진행 할까 생각하다가 최선을 다해봐야지 하고 서둘러 출발했는데 혼자서 2시간 이상을 산행 한 후 중간조인 병채 형님, 용진 형님 그리고 돈민이를 운무산 정상에서야 만날 수 있었다. 이후 함께 진행하다 오름길만 만나면 뒤처지는 나는 이른 점심을 먹기 위해 먼저가라고 말을 한 후 식사를 했는데 중간조를 다시 만난 것은 하산 기점인 구목령 아래였다. 혼자서 가려니 이런 생각 저런 생각으로 힘들었는데 봉복산은 체력이 따라주지 않아 포기해야 했다. 이런 속도로 가다가는 구목령에서 차를 타고 후미와 같이 하산 하겠구나 싶었는데 덕고산을 지나 간식을 먹은 후 체력을 회복하여 빠른 진행을 했다. 구목령에서 하산을 시작 한 후 얼마 되지 않은 지점에서 병채형님 일행을 만났는데 그건 늘 선두권인 사인검님이 다리에 쥐가 났기 때문에 치료를 위해 30분간 멈춰서 있었기 때문이었다. 사인검님과 한 분은 역으로 올라가서 후미를 기다렸다 차를 타고 하산 하라고 한 후 가파른 등산로를 따라 하산 한 후 산행을 마칠 수 있었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차를 이용 구목령에 온 후 먼드래재로 가는 것이 이번 구간은 더 좋을 듯싶다.

 

산행 사

▲ 먼드래재 도착

▲ 먼드래재(466m):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청량리와 횡성군 청일면 속실리를 잇는 고개로 19번 국도가 지나고 있는 곳으로 지명의 유래는 홍천군에서는 옛날 이 고개에 고을의 원님이 3년간 계시다가 넘어가신 고개라 하여 원령(阮嶺)이라 부르며, 횡성군에서는 고개가 멀고 넓다하여 원령(遠嶺) 또는 먼드래재라 부른다. 현 지형도에는 ‘원령’으로 표기되어있고, 1918년 발행 지도를 보면 원래 ‘먼드리재’였는데 이를 한자로 바꾸면서 遠嶺(원령)으로 표기했다. ‘먼드리’에 맞는 한자를 찾다 멀 원자(遠)를 갖다 붙인 거다. 유래는 한자를 보고 때려 맞춘 거 같다. 어떤 정신 나간 원님이 일은 아니하고 고개에서 3년 동안 뭘 했단 말인가? 현재 지자체나 지리정보원 등에 나오는 유래라는 것이 모두 이런 식이다.   

 

▲ 다음 구간 진행 방향의 먼드래재

▲ 이번 구간 특징 중 하나는 필요 이상으로 이정표가 너무 많다. 아래 사진 처럼 부서진 이정표도 많고..... 산림청 산하 홍천국유림사업소에서는 등산로에 신경을 많이 쓴 흔적이 보이는데 아쉬운 건 관리 상태다.

▲ 내촌마을/ 삼근암 갈림길 (삼근암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있는데, 이 커다란 바위의 무게가 무거울 것 같아 달아보았으나 세근 밖에 안 나갔다 하여 삼근암 또는 서근바위라고 전해진다.)

 

▲ 삼근암 방향의 운무가 보기 좋다.

▲ 위험 구간엔 안전을 위헤 밧줄도 설치 되어 있는 등 산림청 산하 홍천국유림사업소에서 등산로에 신경을 많이 쓴 흔적이 보인다.

▲ 능현사 갈림길

▲ 능현사 갈림길에 있는 이정표

 

▲ 진행 방향 운무산

 

 

▲ 돌탑도 있다.

▲ 운무산인줄 알고 올랐더니 875봉 헬기장이다.

▲ 875봉에 있는 이정목

▲ 새집이 있는 이정목(운무봉이라 표기 한 것을 보면 횡성군에서 세운듯 하다. 정상까지는 이정목과 달리 20분 소요 되었다.)

▲ 운무산(雲霧山:980.3m △청일22):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과 횡성군 청일면의 경계 능선에 있는 산으로 산 정상에 항상 구름과 안개가 끼여 있는 산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운무산은 그리 높지는 않은 산이지만 아기자기한 바위와 암릉에 어우러진 노송과 철쭉, 진달래, 산나물이 온산을 뒤덮고 있으며 산행길에는 삼근암, 치마바위, 바위굴 등 곳곳에 수십 미터 절벽과 급경사가 있어 등반이 그리 쉽지 않은 코스이다. 운무산은 '율무성'이라고도 하는데 세종대왕의 신하들이 피신했다는 설이 내려오며 임금바위(관을 쓴 것 같다 하여 붙여짐), 말뚝바위 등 사방 각도에 따라 달라 보인다고 한다. 운무산은 안말(청일면 속실리) 뒷산이라고도 불리며, 산이 높아 항상 구름과 안개가 낀 것 같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산의 높이는 980m이며 정상의 남방 800m 되는 곳에 이르면 수십 미터의 높은 절벽이 가로막고 있고, 좌우 모두가 급경사 지형으로 주변에는 석축의 흔적이 남아있어 성지(城址)일 가능성을 짐작케 한다. 구전에 의하면 고구려, 혹은 궁예가 활동하던 시기에 쌓은 것이라 하며, 태기왕이 덕고(태기)산성에서 신라군에 패하여 운무산성으로 왔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 운무산 정상에는 이정목과 지도와 2등 삼각점이 있고, 사람도 둘러앉기 비좁은 터에 정상석이 2개나 있다. 홍천군의 대리석 정상석에는 운무산, 횡성군의 자연석 정상석엔 운무봉으로 표기했다. 횡성군에서 만든 것은 자연석 뒷면을 깎아 얇게 만든 것인데 선답자의 산행기에서 홍천군의 표지석만 있는 사진을 본 적이 있다. 그렇다면 횡성군에서 뒤 늦게 설치한 것인데 꼭 설치를 했어야 하나 라는 의구심이 생긴다. 홍천군에서 설치 할 때 경계이니 만큼 홍천군/ 횡성군으로 설치 했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장흥의 일림산과 보성의 삼비산처럼 한 산을 둘로 표기 하지 말고 지도처럼 여기도 운무산으로 표기해야 하며 두 정상석은 불필요한 낭비 같다.

▲ 운무산 정상에서는 조망을 볼 수 없고 정상을 벗어나면 바로 급경사다. 육안으로는 보았던 태기산의 풍력발전기는 사진에선 안 보인다.

 

▲ 운무산 정상에서 400여m를 급경사로 내려온다.

▲ 원넘이재: 옛날 어느 고을 원님이 횡성군 속실리에서 홍천 청량리를 넘어 다녔는데 원님이 넘어 다녔다하여 원넘이재라고 부른다.

 

▲삼년대 갈림길 :삼년대는 진행방향 좌측으로 내려가면 홍천군 서석면 청량리에 있는데 어느 원님이 원넘이재를 넘어와서 삼년대 마을에서 삼년을 기거하였다하여 삼년대 마을이라고 불렀단다. 해발 450m인 삼년대마을에는 2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이 마을에서 남동쪽으로 청량천 상류를 이곳 주민들은 삼년대계곡 또는 큰통골이라 부른다. 큰통골은 삼계봉이 발원지다. 아직 청정지구로 남아 있는 큰통골은 겨울이 6개월이라 할 정도로 겨울이 봄과 가을을 1~2개월씩 잠식한다고 한다.

 

 

▲ 1,031봉(봉복산 갈림봉) 넓은 공터가 나오고 이정목에는 이정표가 떨어져 나뒹둘고 있어 보기가 않좋다. 이정표( →운무산 4.16km ← 덕고산 2.18km)가 있고 좌측으로 봉복산 가는 등산로가 뚜렷하다. 봉복산을 까지 1.2km이니 왕복으로 2.4km라 1시간 가까이의 거리는 부담스럽고 체력도 안 좋아 아쉽지만 지나친다.

 

봉복산(鳳腹山 1,022m):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과 홍천군 서석면의 경계 능선에 있는 산으로 산세가 봉황을 닮아 붙여진 이름으로 사계절의 명성을 갖춘 횡성의 명산이다. 특히 겨울의 설경은 산악인들이 자칫 하산을 잊게 할 정도로 환상적인 산이라고 한다. 산 아래에는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창건한 봉복사가 있다. 설악산에서 여주 봉미산에 이르는 장장 120km에 이르는 산줄기가 한 마리의 큰 봉황이 누워있는 형상인데 봉황의 배(腹)에 해당하는 곳이 이곳 봉복산이란다. 그래서 설악산에는 봉황의 머리를 의미하는 유명한 봉정암(鳳頂菴)이 있고 여주 신륵사가 자리 잡고 있는 봉미산(鳳尾山)은 이름 자체가 봉황의 꼬리를 뜻한다. 신륵사 앞 남한강에 꼬리를 담근 봉황이 동북쪽을 향해 설악산 소청 아래의 봉바위에 머리를 두고 있는 형상이며 그 양쪽에 직선을 두고 있는 중심에서 남쪽으로 약간'처져있는 횡성 땅에 봉황의 배를 뜻하는 봉복산이 자리를 잡고 있다. 봉황의 머리를 뜻하는 소청에는 봉정암이 있고, 배를 뜻하는 봉복산에는 자장율사가 창건한 봉복사가 있고 꼬리를 뜻하는 봉미산에는 나옹선사의 부도가 있는 신륵사가 있다.

▲ 1,094.2봉에 있는 이정목

▲ 1,094.2봉 삼각점(△ 청일 426. 1989 복구)

▲ 한남대 계곡 갈림길: 진행방향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면 횡성군 청일면 신대리로 이어지는 한남대 계곡이다. 봉복사 들머리에 있는 한남대는 우리 대전의 대학교가 아니고 마을이름으로 신라시대에 봉복사에 ‘한남대’라는 스님이 처음으로 이곳을 개척해 살았다하여 스님의 법명을 따라서 이 지역의 지명이 한남대로 불렸다고 한다. 한남대가 있는 신대리는 자연이 비교적 잘되어 있는 청정지역으로 주변 산기슭에 산죽이 많이 자라고 있어 예로부터 복조리 산지로 유명하며 신대리의 지명유래도산죽과 복조리와 관련된 유래로 생겨난 이름이라고 한다.

▲ 덕고산(德高山1125m):강원도 횡성군 청일면과 홍천군 서석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오늘 산행 중 가장 높은 산이나 정상에는 이정목과 모 산악회에서 걸어둔 표지판이 깨진 채 떨어져 있다. 성골계곡을 사이에 두고 태기산과 마주하고 있으며 삼한시대 말 진한의 마지막 왕인 태기왕이 새로 일어나는 신라군에 쫓겨 이곳에 성을 쌓고 군사를 길러 신라군과 싸웠다는 전설을 안고 있다. 덕고산은 고시지명이 아니며 산경표와 대동여지도 현재의 백과사전에도 나오고, 청일면 신대리 봉복사(鳳腹寺)의 사찰명에 대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奉福寺在德高山’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정작 국토지리정보원 자료(지명고시, 지형도)에는 없다. 덕고산 명칭으로 지명이 고시된 덕고산은 같은 횡성군에 두개가 있다. 둔내면의 덕고산(702.8m)은 영월지맥상에 있고 또 하나는 횡성읍에 있는 덕고산(521m)이다. 봉복사 입구에도 “德高山鳳腹寺” 표석이 있다. 산경표에서는 태치산( 泰峙山 또는 일명 덕고산)으로 표기가 되어있고 대동여지도에는 덕고산(德高山)과 태기치(泰岐峙)로 따로 기재되어 있으며 1:50,000 지형도에는 산 높이만 되어있는 덕고산은 그 산자락에 천년고찰 봉복사가 자리를 잡고 있는데 봉복사에는 덕고산봉복사(德高山 鳳腹寺)이 편액이 걸려있어 덕고산이라 불리는 것이라고 한다.

▲  삼계봉(三界峰 1,105m):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과 횡성군 청일면 그리고 홍천군 서석면의 경계능선에 있는 봉우리로 삼계봉(三界峰)이란 명칭은 고시지명은 아니고, 초창기에 한강기맥을 답사하신 신산경표의 저자이신 박성태님이 명명했다고 하며 이름으로 행정구역도 셋으로 나뉘고 물길도 세 방향 골짜기로 홍천강 평창강 섬강쪽으로 갈라지니 셋으로 갈라진다. 지난구간 청량봉에서 이곳 삼계봉까지 한강기맥과 영춘지맥이 이곳과 같이 오다가 이곳부터는 좌측 태기산쪽으로 영월지맥으로 가는 길이고 한강기맥길은 우측으로 이어진다. 이곳부터는 지난구간 계속 같이해온 봉평면과 이별을 하고 횡성군 청일면으로 접어든다. 이정표 기둥에 적힌 위도가 우연의 일치인지는 몰라도 북위 37도 37분 37초이다.

 

▲  삼계봉을 지나면서 산죽 구간을 간다.

 

 

▲ 구목령에 있는 한강기맥 안내판

▲구목령(九木嶺:943m):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평창군 봉평면, 횡성군 청일면을 넘나드는 경계에 있는 고개로 오래된 고목이 아홉 그루가 있었다 해서 구목령이라 불린다. 오대산~양수리까지 남한강과 북한강을 가르는 능선인 한강기맥 중에서도 외지로 손꼽히는 구목령에서 1190봉으로 향하는 길에는 산꿩의 다리, 큰연령초, 잎과 줄기의 냄새가 마치 오줌처럼 지린다는 노루오줌, 참나무 씨가 날아와 자생하는 참당귀등이 즐비한 천혜의 야생화 전시장이다. 또 1132봉의 전방바위에서는 태기산의 풍력발전기와 평창의 흥정산, 운두령으로 향하는 마루금과 구목령 능선을 시원하게 관망할 수 있어 강원도의 숨겨진 보물이 아닐 수 없다. 덕고산으로 내리는 길은 풀섶과 짙은 산길이어서 원시림과 같은 산음을 즐길 수 있다.

▲구목령 인증

▲구목령에서 임도 따라 내려 오다 표식을 보고 급경사로 내려선다.

▲ 구목령에서 약 10분 정도 하산하다 보니 사인검님이 다리에 쥐가 나서 치료를 위해 멈춰서 있다.

▲ 마음은 입수하고 싶은데 내려가면 또 씻어야 하니 지나친다.

▲ 생곡리 사방댐

▲ 생곡리 사방댐 아래엔 전원주택으로 허가를 받았겠지만 숙박시설이 들어서고 있다.

▲ 생곡리 멋진 전원주택

 

 

 

▲ 생곡리 산행마침

▲ 생곡리 알탕 장소

▲ 후미 기다리며 개굴님 장기자랑에 웃고..

▲ 후미 도착( 진달래님이 덕고산 이후  쥐가 나서 산행 속도가 더 늦어 졌다고 한다.)